
[충남일보 최솔 기자] 대전에서 이전한 지 5년 6개월이 넘은 충남도청을 비롯해 충남도의회, 충남도교육청, 충남경찰청 등 충남의 ‘행정타운’이 위치해 있는 내포 신도시의 최근 인구는 2만 5000명 정도다. 당초의 계획대로라면 7-8만 명은 돼야 한다. 계획 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인구 수가 이렇게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정주 여건이 매우 미흡한 탓이다.
민선 5·6기 중앙의 공공기관 이전을 비롯해 종합병원이나 대형 마트 유치 등의 공약이 제대로 지켜졌더라면 충남도청 소재지의 이런 ‘민낯’은 달라졌을 것이다. 정주 여건의 미흡은 시외버스 터미널 조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내포 발전이 순조롭게 진행됐다면 이미 내포 신도시 한 복판에 자리를 잡아야 했지만 이제껏 ‘공터’로 남아 있다. ‘꿩 대신 닭 격’으로 도청 바로 옆에 간이 정류소가 운영되고 있기는 하지만 노선에 대한 신설이나 확충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이 여간 큰 게 아니다<7월 13일자 1면 보도>. 이에 따라 본보는 내포 신도시 시외버스 터미널과 관련해 실태와 문제점, 대안을 시리즈로 점검한다. [편집자 주]
충남 내포신도시 시외버스 터미널(정류소) 조성이 첫 삽을 뜰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충남도와 홍성군, 충남개발공사 등에 따르면 충남도교육청 사거리 C2블록(9466평) 부지에 시내·시외버스 정류소와 함께 백화점과 극장, 할인매장 등 복합상업문화공간인 '파워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그동안 도청 옆에 위치한 임시 정류소의 경우 공간이 비좁고 주거 단지와 동떨어져 있어 이용 불편 민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도는 파워센터를 40층 이상 '초고층'으로 조성하고 신도시 정체성이 반영된 외관으로 꾸며 지역의 랜드마크로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계획상 2020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돼야 할 파워센터는 현재 부지 매입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류소 조성에 가장 큰 걸림돌은 정주여건 미흡으로 인한 인구증가 둔화다.
도청이 신도시로 옮겨온 지 6년차에 접어들었지만 대형 마트나 종합병원 이전은 요원한 상태인 데다 혁신도시로 지정되지 못하면서 공공기관 이전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종합병원 기능을 수행할 소방복합 치유센터 유치 실패도 실망감을 더하고 있다.
특히 매년 반복되는 신도시 축사 악취 문제는 외부 인구의 정착 뿐 아니라 기존의 주민들도 다른 지역으로 떠나게 만드는 원인으로 꼽힌다.
열병합발전소 연료 문제를 둘러싼 갈등도 마찬가지다. 고형폐기물(SRF) 사용을 고수하는 사업자 측과 이를 반대하는 주민들 간 갈등은 해결되지 못한 채 장기화되고 있다. 사업자 측은 비용 문제로 난방 공급 중단을 예고하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당초 신도시 인구는 올해 7만 명에 이르러야 하지만 현재 3분의 1 수준인 2만 5000명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충남개발공사 관계자는 "신청자가 없다 보니 당장 추진하긴 어렵다"면서 "신도시 인구가 최소 5만 명은 돼야 민간투자를 통한 파워센터 설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성군 관계자도 "신도시 터미널 건설 공약은 여건상 이유로 재검토 해야 할 것 같다"는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