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일선 학교 교사들이 과다한 공문서 처리로 인해 업무 가중은 물론 교육의 질 저하마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교사들이 하루 평균 30여 건에 달하는 공문서 처리에 시달리다 보니 정작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전념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지적은 최근 충남도의회 교육위의 충남도교육청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제기됐다.
오배근 위원(홍성1)은 도 교육청에 대한 질의에서 “공문서 유통 현황을 보면 지난 6월의 경우 550여 건 이상 생산됐다”며 “하루에 30여 건 이상의 공문서가 왔다 갔다 한다는 얘기인데 일선 학교에서 이를 다루려면 엄청난 시간이 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 위원은 “조그만 학교들은 공문서 처리하다가 자라나는 학생들의 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간들이 없을 것”이라며 “하루 30건이라면 최소한 반 나절은 허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공문이 많다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교육의 질이 저하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공문을 줄이는 방법을 면밀히 검토해 교사들이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충남교육청측은 학교 공문서 유통량 감축은 학교업무 정상화 종합 계획에 포함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항이라고 밝혔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지역교육청을 통해 초등학교나 중학교에 가는 공문들은 현재 도 교육청에서 직접 공문을 발송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늘상 활용되는 통계 자료는 도 교육청에서 집중 관리해 가면서 각급 학교로부터 다시 보고를 받지 않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며 “가능하면 기존의 자료를 활용해 학교로부터 다시 보고를 받는 부분들을 최소화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도 교육청측은 그러면서 “현재 각급 학교에 교무행정 지원팀 또는 교무행정 전담팀을 구성·운영하고 있다”며 “교감과 교무행정사가 주축이 돼 교사들이 처리해야 될 공문이라든가 이런 부분들을 전부 처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에 열린 김지철 교육감과 교직원들이 참석한 ‘원탁 토론회’에서 일선 학교의 문서 보고 문제가 주요 개선점으로 지적됐다.
교사들은 토론회에서 “정형화된 업무 보고로 인해 업무가 가중되고 있다”며 “일일 업무 문서 보고와 결재 요지 생략 등 보고와 결재 업무 절차의 간소화가 필요하다”며 교육청측에 개선해 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충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